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363)
(25년 7월 21일) 트럼프 취임 6개월…재테크 대혼란, 이론이 통하지 않는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2000311 트럼프 취임 6개월…재테크 대혼란, 이론이 통하지 않는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트럼프 취임 6개월…재테크 대혼란, 이론이 통하지 않는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불확실성 커지는데 경제는 정반대 현상 달러 가치 10% 급락 세계 주가지수 13%↑ 안전자산 제 기능 못해 경기www.hankyung.com 1. 트럼프 대통령 재임 6개월 간 재테크 관점에서는 관세 부과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 기간으로 집약된다. 2. 보통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선호경향이 높아지는것과 반대로 안전자산인 달러, 채권의 가치는 급락했다. 3. 반면 세계 주가지수는 13%나 급등했고 불확실성이 높은 국가들의 주가가 더 올랐다. 4. 안전자산이 ..
(25년 7월 18일) "어떤 시나리오든 SK하이닉스 독주 끝"…충격 보고서 나왔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754401 "어떤 시나리오든 SK하이닉스 독주 끝"…충격 보고서 나왔다"어떤 시나리오든 SK하이닉스 독주 끝"…충격 보고서 나왔다, "HBM 공급과잉 우려" SK하이닉스 주가 급락 골드만 "내년 가격 10% 하락" 투자의견 '매수→중립' 하향 "삼성·마이크론 생산 늘리면 HBMwww.hankyung.com 1. 17일 골드만삭스가 발표한 SK하이닉스 심층보고서는 HBM 가격 하락은 피할 수 없다는 문장 하나로 요약된다. 2. 골드만삭스는 내년 HBM 평균 가격이 올해 대비 10% 하락하고 삼성이 엔비디아 납품 조기 통과 시 35%까지 빠질것으로 봤다. 3. 삼성전자가 엔비디아 HBM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매력적인 가격을 제시하고..
(25년 7월 17일) 화력 약해진 美방산주…드론기업만 훨훨 https://www.mk.co.kr/news/stock/11369678 화력 약해진 美방산주…드론기업만 훨훨 - 매일경제"자강안보" 유럽, 美의존낮춰獨·佛 대표방산기업 주가 쑥美록히드마틴은 올 마이너스트럼프 드론산업 육성나서자무인기 크라토스 주가 2배로www.mk.co.kr 1. 글로벌 군비 경쟁 흐름 속에서 각 국 방산주가 비상했으나 미국 대표 기업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 올해 들어 국내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모두 100% 이상의 가파른 주가 상승세를 보였다. 3. 독일의 대표 방산기업 라인메탈은 독일의 국방비 증액과 러우전쟁 덕분에 주가가 약 200% 치솟았다. 4. 최근 유럽의 군비 확대에서 탈미국 기조를 보이며 록히드마틴 등 미 군수 기업의 주가는 지..
(25년 7월 16일) 美, 저가 AI칩 '中빗장' 해제…삼성, HBM 공급재개 기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502711 美, 저가 AI칩 '中빗장' 해제…삼성, HBM 공급재개 기대 [영상]美, 저가 AI칩 '中빗장' 해제…삼성, HBM 공급재개 기대 [영상], 美정부, 엔비디아 보급형 AI칩 中수출 허용 젠슨 황 "H20 판매 승인받아" 삼성전자도 반사이익 얻을 듯www.hankyung.com 1. 10일 엔비디아 CEO는 미국 기업들의 AI 분야 지배를 위해 엔비디아가 세계 대부분 지역에 AI 기술 판매를 허용해야 한다고 했다. 2. 중국 화웨이가 자체 AI 가속기를 개발하자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가속기 H20 수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3. 미국의 규제가 중국 AI 반도체 생태계를 단단하게 하고있다는 평이 나온다. 4...
(25년 7월 15일) 낸드도 공급 부족…3분기 가격 10% 오른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459921 낸드도 공급 부족…3분기 가격 10% 오른다낸드도 공급 부족…3분기 가격 10% 오른다, 반도체 업황 삼성전자·마이크론·SK하이닉스 고부가 HBM·DDR5에 집중 구형 D램 PC용 DDR4·낸드 출하량 줄여…수급 개선www.hankyung.com 1. HBM, DDR5 생산을 위해 삼성전자는 연말, 마이크론, SK하이닉스는 내년 초 DDR4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2. DDR은 D램 성능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최신이다. 3. 관세 부과에 따른 재고 비축과 DDR4 모듈 수요 확대도 DDR4 공급량을 더 줄게 하는 요인이다. 4. DDR4의 공급 부족 가능성이 커지며 올 3분기 DDR4 고정 거..
(25년 7월 14일) "관세전쟁發 미국 경기침체 위험 낮아져" https://www.mk.co.kr/news/world/11366698 "관세전쟁發 미국 경기침체 위험 낮아져" - 매일경제WSJ 경제전문가 69명 설문1년안에 침체 가능성 33%4월 조사 45%에 비해 낮아4분기 GDP 1%로 반등 전망www.mk.co.kr 1. 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하며 불거진 미 관세발 경기 침체 우려가 잦아든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 WSJ의 경제학자 6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은 33%, 4분기 GDP 성장률은 1%로 내다봤다. 3.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도 미국 경제가 잘 버티고 가장 우려한 관세발 물가 상승이 일어나지 않은 점이 꼽힌다. 4. 6월 실업률도 전월보다 낮아졌고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간 고용이 월평균 7..
(25년 7월 11일) 이창용, 금리인하 속도조절 시사…"집값 하락 확인해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011231 이창용, 금리인하 속도조절 시사…"집값 하락 확인해야"이창용, 금리인하 속도조절 시사…"집값 하락 확인해야", 이창용 "현재 가계부채는 소비·성장 막는 임계 수준" 한은, 기준금리 年 2.50% 동결 "집값 과열에 금융안정 우선"www.hankyung.com 1. 한국은행은 10일 2.5%로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 후 집값 문제가 금리 인하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 메세지를 내놨다. 2. 지난 8월은 저성장 우려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 급증세로 금리를 3.5%로 동결했었다. 3. 집값 상승 속도는 지난 8월보다 지금 더 걱정이 크다고 했고 이번 인하 시점은 더 밀릴것으로 시사했다. 4. 가계부채는 2개월가량..
(25년 7월 10일) 사상 첫 4조달러 엔비디아…2023년 이후 1000% 상승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098662i 사상 첫 4조달러 엔비디아…2023년 이후 1000% 상승사상 첫 4조달러 엔비디아…2023년 이후 1000% 상승, 2년전 애플 3조달러일 때 엔비디아 1조달러 최대 고객인 빅테크 내년에도 AI투자 10% 이상 증가 전망www.hankyung.com 1. 엔비디아가 뉴욕증시에서 사상 첫 시가총액 4조달러를 달성했다. 2. 엔비디아는 올해 초 딥시크의 등장과 대중 AI칩 수출 규제 및 상호관세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3. 이후 엔비디아는 중동 국가의 AI 인프라 확대,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구축 발표가 잇따르며 70%의 매출 총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4. 엔비디아는 GPU 시장에서 80%의 점유율을, AI 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