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다시 보니 과제 답변을 안받았음.
QUIZ (1) 기준금리가 앞으로 하락한다면 채권, 달러, 주식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1. 기준금리 하락 시 -> 달러가 시중에 많이 풀림 -> 달러 약세
2. 시중에 풀린 달러는 금리 인하로 이자에 대한 매력이 줄어듬 -> 증시, 기업 투자로 이어지면 주식 강세
3. 금리 인하로 새로 나오는 채권의 금리는 하락한 상태로 나오므로 기존 채권의 표면 금리가 더 높음
4. 기존 채권 가격 상승 -> 채권 금리 하락
QUIZ (2) 블랙아웃 기간이란 무엇인가?
연준 위원들이 FOMC 발표 일주일전부터 대외에 메시지 전파를 하지 않는 기간
QUIZ (3)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엔화는 어떤 흐름을 보여줄 것인가?
-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라 양적완화를 축소한다. 시중에 엔화를 덜 뿌린다.
- 시중에 엔화가 줄어드니 엔화 약세에서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
QUIZ (4) 중국보다 인도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은 여러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인도는 성장 가능성이 많다. (23년 7월 기준)
현재 중국 상황
- 구매력 : 중국 6월 소매판매 3.1% 4개월만에 한자리수로 추락
- 실업률 증가, 저축 부족으로 구매력 저하 소비 부진
- 소비자물가 0%수준 디플레이션 가능성, 생산자물가지수는 마이너스
- 공급망 재편으로 유럽,미국으로의 수출 감소.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요 약화
- 중국 GDP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도 위축, 60%를 차지하는 개인소비도 영향, 근데 전년대비 -7.9% 관련 투자 감소
- 중국 GDP는 피크차이나론(정점찍고 내려오는) 부각 성장률감소 + 실업률증가
- 중국 청년실업률 21.3% 역대 최고치 기록, 지방정부와 기업부채
- 미중갈등 첨단산업 성장 둔화
- 중국관련 펀드 수익률 심각하게 하락중
현재 인도 상황
- 인도는 연평균 20% 성장률을 보여주는 국가
- 제조업 성장에서 내수경제 활성화, 내구소비재 시장 급속도 성장
- 인도 기업 부채수준은 하향 안정화, 생산가능인구 비율 증가 유일하게 가능
- FDI(외국인 직접투자)도 증가하는 추세
- 인도의 nifty 50 지수는 30년간 연평균 14% 성장중
- 애플, 구글 삼성, 아마존 등 64%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공장을 인도로 이전중
- 인도국가적 차원의 폭발적 지원
- 2025년까지 인도로 이전한 기업에게 인센티브, 세제 혜택 제공 약속
- 세계은행에서 선정한사업하기 좋은 환경점수도 높아지는 상태
- 성장동력은 인구수인데, 중산층이 커지면서 소득, 소비가 증가, 내수 경제 견인
- 낮은 금리와 정부의 지원금으로 인도기업들의 부채 상환, 부채 비율 낮아지는중
QUIZ (5)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선언이 경제와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흑해곡물협정이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중단된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재개를 위해 2022년 7월, 4개월(120일) 기한으로 체결된 협정이다.
당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 하에흑해 항로를 통한 양국 곡물 및 비료를 안전하게 수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을 담은 4자 흑해 곡물수출 협정을 맺은 바 있다.
흑해곡물협정 종료 선언은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항구로 가는 선박은 군사화물선으로 여기는것.
-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이 어려워짐
- 우크라이나는 세계 최대 밀 옥수수 해바라기씨유 수출국이다.
- 엘니뇨로 현재 세계 곡물 작황이 좋지 않다.
=> 중기적으로 식품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곡물 관련주 상승 예상
QUIZ (6) 테슬라가 예상 웃돈 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인가? (23.7 기준)
1. 테슬라에 대한 기대를 많이 했음
=> 시장은 전기차 인도량이 늘어날거라 기대했다
2. 실적 마진에 대한 아쉬움
=>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3분기 실적 우려
3. 차익실현욕구
=> 6개월만에 150% 상승으로 차익실현 타이밍
4. 경기침체우려
=> 근원소비자물가지수의 더딘 하락, 아직 금리 인상 가능성 존재
직장인들을 위한 출퇴근 챌린지: https://www.frip.co.kr/products/165667
'경제적 자유를 위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8월 4주차 과제(중국경제 3중고, 커플링, VIX지수, NCMA, LFP) (2) | 2023.12.18 |
---|---|
23년 8월 3주차 과제(디플레이션, GDP, GNP, 경상수지, 프렌드쇼어링) (1) | 2023.12.18 |
23년 8월 2주차 과제(원유 감산, GDP, 턴키) (1) | 2023.12.16 |
23년 8월 1주차 과제(잭슨홀 미팅, 클로스터, 고용보고서) (0) | 2023.12.10 |
23년 7월 3주차 과제(통화정책, 피벗, 경기사이클, 2년물 국채금리, 중국 실물지표 3가지) (1)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