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7) 썸네일형 리스트형 23년 8월 5주차 과제(AI반도체, ABC포트폴리오, OSAT) ● **Quiz [1] 테마주 매매 vs 가치투자 중 본인이 생각했을 때 적합한 투자 수단과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적인 생각)** 내답변 * 테마주와 가치투자를 4:6 정도로 하면 좋다고 생각 테마주는 단타, 가치투자는 장투라고 볼수 있는데 1. 가치투자는 길게 봐야 한다. 하지만 그게 몇년 뒤일지 알 수 없고, 몇년간 횡보나 하락 시 그만큼 기회비용을 날릴 수 있다. 2. 급전 필요 시 투자한 시간은 시간대로 날리고 수익도 없을 수 있다. 적절한 테마주 투자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실시간 대응을 할 수 없는 직장인이기 때문에 목표 익절, 손절 구간을 정해두고 미련없이 매매해야 한다. 스터디답변 A) 과제 답변들을 쭉 정리하여 훑어보니 가치투자 쪽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대다수가 기업의 사업.. 23년 8월 4주차 과제(중국경제 3중고, 커플링, VIX지수, NCMA, LFP) ● **Quiz [1] 중국 경제 3중고에 대해 적은 뒤, 2023년 중국 전망에 대한 본인의 의견은 어떠한가?** 내답변 1. 부동산 경기 침체 - 중국의 저축 투자 목적은 주로 부동산 - 현재 중국 GDP 30%를 차지하는 부동산이 경제 성장률을 끌어내리는중 2. 지방 재정 악화 -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고 싶지만, 푼 만큼 위안화 가치 하락 우려해서 쉽사리 돈을 풀기 어려운 상태 3. 위안화 가치 하락 - 포치현상 발생 -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 이상으로 상승 - 중국 정부가 금리를 너무 적게 내려, 회복할거란 기대보단 진짜 안좋은 상태라고 해석 - 외국인 자금 중국 증시에서 떠나며 위안화 가치 하락 본인 의견: 중국 정부는 각종 경제 지표를 비공개로 돌리고 부동산 기업들에게 손을 내미는 모.. 23년 8월 3주차 과제(디플레이션, GDP, GNP, 경상수지, 프렌드쇼어링) Quiz [1] 기준금리 인상에 민감한 것은 S&P500과 나스닥 중 무엇인가? (이유 포함) 내 답변 나스닥이 더 민감 기준금리 상승 ->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기술, 성장주는 미래를 보고 투자하고 기업들은 대출을 받아서 투자한다. 그럼 갚아야될 이자가 더 많아져서 어려워지고, 새로 대출하려는 기업도 투자를 유보하게 된다. 투자자들은 기대감이 사라지고 주가를 매도하여 주가가 하락한다. 나스닥 기업들이 좀 더 돈을 이미 빌렸거나, 빌릴 예정이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상에 더 민감하다. 스터디 답변 A) 기준금리 인상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기준금리 인상은 물가를 잡기 위한 카드 중 하나인데 그 이유는 예적금 금리도 상승하며 소비보다는 저축이 증가하게 되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감소는.. 23년 8월 2주차 과제(원유 감산, GDP, 턴키) Quiz [1]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결정은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내답변감산 결정 시 -> 수요가 유지된다면 원유 가격은 상승 - 원유 가격이 오른다는건 에너지 가격이 오른다는것 - CPI는 식품, 에너지와 그 외 나머지인 CORE CPI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유 가격이 오를 경우 CPI 지수도 오르게 될 확률이 크다. 스터디 답변감산은 '감'소 생'산'을 뜻합니다. 즉 공급을 줄이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정판 신발이 비싼 이유는 공급은 한정적인데 수요가 많기에 가격이 비싸지게 되는 것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8월 말까지 감산 연장을 하겠다고 하였는데 9월까지 연장을 하였습니다. 공급 감소 우려로부터 유가는 $80달러를 넘어섰고 이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23년 8월 1주차 과제(잭슨홀 미팅, 클로스터, 고용보고서) QUIZ(1) 잭슨홀 미팅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내 답변 - 전세계 주요 중앙은행 총재, 경제 학자 등이 모여 향후 통화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 - 어떤 통화정책을 펼칠것에 대한 논의이므로 전세계의 통화 정책 방향 파악 가능 - 2023년 9월 FOMC 이전까진 대형 이벤트가 없으므로 잭슨홀 미팅 전후 증시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 스터디 답변 잭슨홀 미팅은 전 세계 주요 중앙은행 총재와 경제학자 등이 모여 향후 통화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잭슨홀 미팅 이전에 어떠한 발언을 할 것인지 경계를 하기에 다들 식은땀을 흘리게 됩니다. 파월의 발언에 따라 통화정책이 어떻게 될 것인지, 주식시장은 어떻게 대응을 할 지에 대해 전 세계 투자자들이 전부 눈여겨 보기 때문입니다. 1년에 딱 1회 열리.. 23년 7월 4주차 과제(블랙아웃, 인도, 흑해곡물협정) 지금 다시 보니 과제 답변을 안받았음. QUIZ (1) 기준금리가 앞으로 하락한다면 채권, 달러, 주식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1. 기준금리 하락 시 -> 달러가 시중에 많이 풀림 -> 달러 약세 2. 시중에 풀린 달러는 금리 인하로 이자에 대한 매력이 줄어듬 -> 증시, 기업 투자로 이어지면 주식 강세 3. 금리 인하로 새로 나오는 채권의 금리는 하락한 상태로 나오므로 기존 채권의 표면 금리가 더 높음 4. 기존 채권 가격 상승 -> 채권 금리 하락 QUIZ (2) 블랙아웃 기간이란 무엇인가? 연준 위원들이 FOMC 발표 일주일전부터 대외에 메시지 전파를 하지 않는 기간 QUIZ (3)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엔화는 어떤 흐름을 보여줄 것인가? -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라 양적완.. 23년 7월 3주차 과제(통화정책, 피벗, 경기사이클, 2년물 국채금리, 중국 실물지표 3가지) QUIZ (1) 경제시황을 분석할 때, 통화정책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내 답변 1. 기준금리 인하(양적완화) vs 기준금리 인상(양적긴축) -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가치 상승하며 코스피 상승,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가치 하락하며 코스피 하락하는 반비례 관계 - 환율이 떨어질거 같으면 외국인이 국내로 들어와 매수하며, 환율이 오를거 같으면 매도하고 떠남 2. 기준금리 인상시 - 개인은 투자보다 저축, 기업은 설비투자보다 투자유보 - 한미금리역전현상 발생 1. 국내 금리를 올릴 시 각종 부채 감당이 안되서 우리나라는 동결하고 있음. 2. 근데 미국이 금리가 더 높다면 사람들은 미국에 투자할것이다. 3. 달러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자본이 해외로 유출된다. - 달러 인덱스(달러 가치) 상승 3... 이전 1 ··· 33 34 35 36 다음